빠른상담
가사성공사례
 

※ 모든 성공사례는 법률사무소 도헌이 직접 수행한 실제 성공사례입니다.

​"후회뿐이던 이혼 그리고 놓친 재산분할의 권리"

 

 

저는 평범한 가장이었습니다. 넉넉하지는 않았지만 아내와 자녀를 위해 묵묵히 일하며 살아왔습니다. 하지만 스트레스를 받으면 술로 푸는 나쁜 습관이 있었고 과음 후 다툼이 생기면 감정이 폭발해 아내에게 폭력을 행사하는 일이 잦았습니다. 결정적인 날은 친구들과의 동창회 자리였습니다. 만취 상태로 귀가한 저는 또다시 아내와 다투었고 그날 일은 제 인생의 가장 큰 오점이 되었습니다.

아내는 그날 이후 경찰에 가정폭력 신고를 하겠다며 저를 강하게 몰아붙였고 이혼을 요구하는 과정에서 "재산분할 포기각서를 쓰지 않으면 신고하겠다."라는 말까지 했습니다. 저는 형사처벌이 두렵기도 했고 무엇보다 스스로의 잘못에 대한 죄책감으로 아무런 반박을 하지 못했습니다.

그렇게 저는 아내에게 위자료를 지급하지 않는 대신 재산분할도 포기한다는 각서에 서명한 뒤 급하게 협의이혼을 마무리했습니다.

법률사무소 도헌과의 만남

 

이혼 후 홀로 지내며 후회가 밀려왔습니다. 하지만 어느 날 친한 직장동료로부터 "유책배우자라도 재산분할은 받을 수 있다."는 말을 듣게 됐습니다. '내가 잘못했는데 그런 권리까지 있을까?'라는 생각이 먼저 들었습니다. 하지만 알아볼수록 재산분할은 혼인 중의 공동 기여에 대한 정당한 권리라는 사실을 알게 되었고 저는 용기를 내어 구리이혼변호사 법률사무소 도헌을 찾았습니다.

상담 자리에서 변호사님은 제 이야기를 끝까지 들어주시고 차분히 이렇게 말씀하셨습니다. "협의이혼 당시의 '재산분할 포기' 각서는 재산분할 내용에 대한 진지한 협의나 합의 없이 압박을 받은 상태에서 작성한 것이라면 효력이 없습니다. 유책배우자라도 공동재산 형성에 기여했다면 분할을 받을 수 있습니다.​"

그 말을 들으며 처음으로 마음이 조금 놓였습니다. 그리고 저는 구리이혼변호사 법률사무소 도헌의 변호사님들과 함께 '포기각서'의 효력을 뒤집는 싸움을 시작했습니다.

 

'법률사무소 도헌'의 전략 : '사전포기'의 무효 입증

구리이혼변호사 법률사무소 도헌의 변호사들은 사건의 핵심을 "협의이혼 당시 재산분할 포기가 유효했는가"에 두었습니다. 또 다음과 같은 점을 근거로 꼼꼼히 입증을 준비했습니다.

▶ 협의 당시 '재산분할'에 대해 구체적 논의가 없었다는 점

실제로 재산의 규모나 기여도, 분할 비율 등에 대한 합의 과정이 없었음.

▶ 의뢰인이 '형사 고소'에 대한 두려움 속에 궁박한 상태에서 서명한 점

사실상 강요에 가까운 심리적 압박이 존재했음을 진술과 정황으로 입증.

▶ 의뢰인이 부부공동재산 형성에 기여한 점을 명확히 자료화

혼인 기간 동안 소득, 저축, 주거 마련 과정에서의 기여도를 객관적 증거로 제출.

이를 통해 변호사님은 "재산분할 포기각서는 진지한 협의가 아닌 단순한 사전포기에 불과하다."는 점을 강조했습니다.

 

조정절차를 통한 합리적 해결

2 (1).png

 

 

재판부는 사건을 조정절차에 회부했습니다. 조정 과정은 쉽지 않았습니다. 상대방은 처음에는 "이미 합의서가 있는데 왜 또 요구하느냐"고 강하게 반발했습니다. 하지만 구리이혼변호사 법률사무소 도헌 변호사님은 차분하게 법리를 설명하며 재판부와 상대방을 설득했습니다.

"사전 포기각서는 법적으로 허용되지 않으며 의뢰인은 형사처벌의 두려움 속에서 궁박한 상태에서 작성한 것으로 재산분할의 구체적 내용에 대한 진지한 협의가 이루어졌다는 명시적 근거가 존재하지 않는다."

결국 상대방도 현실을 받아들이게 되었고 의뢰인에게 재산분할금 4천만 원을 지급하며 추후 의뢰인을 상대로 이혼을 원인으로 하는 위자료 청구 등 추가 소송까지 제기하지 않기로 하는 '부제소합의'가 포함된 조정에 갈음하는 결정이 내려졌습니다.

 

'법률사무소 도헌'의 생각

 

본 사건은 유책배우자가 협의이혼 후 재산분할을 인정받은 대표적 성공사례입니다. 법적으로 '재산분할청구권의 사전포기'는 원칙적으로 허용되지 않습니다. 특히 협의이혼 당시 구체적인 협의 없이 "재산분할을 하지 않는다."는 문구만 넣은 경우 그 각서는 단순한 '포기합의'에 불과해 효력이 부정됩니다.

구리이혼변호사 법률사무소 도헌

 

협의이혼 당시 진지한 재산협의가 없었던 점

의뢰인이 심리적으로 궁박한 상태였던 점

공동재산에 대한 실질적 기여도를 구체적으로 입증

 

조정절차를 통한 4천만 원 재산분할금 수령 및 위자료 포기 조건의 부제소합의를 이끌어냈습니다. 이는 단순히 금전의 문제가 아니라 의뢰인이 정당한 권리를 되찾은 사건이라는 점에서 의미가 큽니다.

"협의이혼 후라도 권리를 포기하지 마세요."

 

 

 

 

※ 본 홈페이지의 글에 대한 모든 저작권은 법률사무소 도헌에 있으며, 무단 복제 및 도용을 금지합니다.

 

 

 

90